운동정보

지근과 속근, 운동 효과를 좌우하는 근육의 비밀

hoony0628 2025. 5. 13. 20:30
반응형

 

운동을 시작할 때, 자신의 체형이나 근육 타입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지근(遲筋, slow-twitch muscle)과 속근(速筋, fast-twitch muscle)의 차이를 아는 것은 운동 목적에 맞는 효율적인 트레이닝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근과 속근의 개념, 기능, 특징, 운동 방식에 따른 효과 등을 알아보고, 자신의 근육 특성에 맞는 운동 전략을 제안합니다.

지근(Slow-Twitch Muscle)이란?

지근은 '지속력'에 특화된 근육 섬유입니다. 산소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유산소 대사'를 통해 오래도록 힘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마라톤, 사이클, 수영과 같은 지구력이 중요한 운동에서 주로 활성화되며, 수축 속도는 느리지만 피로에 강한 것이 특징입니다.

  • 특징
    • 느린 수축 속도
    • 높은 산소 소비 능력 (미토콘드리아 많음)
    • 피로 저항성이 높음
    • 근육 크기는 작고 가늘지만 효율적

속근(Fast-Twitch Muscle)이란?

속근은 '폭발적인 힘'에 특화된 근육 섬유입니다. 빠르게 수축하여 강한 힘을 낼 수 있지만 피로가 빨리 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단거리 달리기, 웨이트 트레이닝, 점프 운동 등에서 강하게 작용합니다.

  • 특징
    • 빠른 수축 속도
    • 높은 파워와 힘
    • 짧은 시간에 많은 에너지를 소비 (무산소 대사)
    • 피로가 빠르게 누적
    • 근육량이 빠르게 증가함

지근형 vs 속근형: 나의 근육 유형은?

사람마다 유전적으로 지근과 속근의 비율이 다릅니다. 일반적으로는 속근 50%, 지근 50% 비율을 가지는 사람이 많지만, 지근형 체질은 마라톤 선수에게, 속근형 체질은 단거리 스프린터나 역도 선수에게서 자주 나타납니다.

간단한 테스트 예시:

  • 오래 달리기는 잘하지만 폭발적인 운동은 어렵다 → 지근 우세형
  • 짧은 시간에 고강도 운동은 잘하지만 금방 지친다 → 속근 우세형

운동 방식에 따른 근육 발달 전략

▶ 지근 발달을 위한 운동

  • 장시간 유산소 운동: 조깅, 마라톤, 등산
  • 중·저강도 지속 운동
  • 높은 반복 횟수의 근력 운동 (예: 15~20회 이상)

▶ 속근 발달을 위한 운동

  •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 (HIIT)
  • 단시간 고강도 웨이트 트레이닝
  • 스프린트, 점프, 크로스핏 등 폭발적 운동

근육 조화가 중요하다

지근과 속근은 서로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합니다. 단지 한 쪽만 발달시키는 것이 아니라, 목적에 맞게 균형 있게 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마라톤 선수도 출발과 막판 스퍼트를 위해 속근 훈련이 필요하고, 역도 선수도 안정적인 지구력을 위해 지근 훈련이 필요합니다.

지근과 속근, 어떻게 활용할까?

  1. 다이어트 목적
    → 지근 위주의 유산소 운동 + 속근 자극 근력 운동 병행
  2. 근육 증가 목적
    → 속근 중심 고중량 훈련 + 일정량의 유산소로 회복력 강화
  3. 운동 초보자
    → 지근 중심 유산소 + 점진적 속근 훈련 (중량 점진적 증가)

결론: 내 몸에 맞는 전략이 곧 최고의 운동법

지근과 속근은 단순히 신체 구조가 아니라, 운동 성향과 목표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나의 근육 타입을 이해하고, 이에 맞춘 전략을 세운다면 더 빠르고 효율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꾸준한 관찰과 다양한 훈련을 통해 나만의 근육 스타일을 찾아보세요. 그것이야말로 몸과 건강을 관리하는 첫걸음입니다.

반응형